전체 글 (224) 썸네일형 리스트형 Refactoring 생산한 물건에 문제가 생기면 다시 리콜이라든가 뭘 해서 공장에 돌려보낸다. 코드도 심히 비효율적이라거나 문제가 있다면 리팩토링해서 돌려보내서 더 효율적인 코드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아까 완성한 코드를 리팩토링 해보도록 하겠다. 그래 쓰면서도 뭔가 너무 길고 지저분해보였다. 공장에 다시 돌려보낼 필요가 있는 코드 저 위에 있는 document.querySelector('#night_day')라는 코드는 위에 있는 버튼 자기 자신을 가르키는 코드이다. 근데 이게 너무 길어지기도 하고, 아이디 값을 매번 새로 줘야하기 때문에 반복적이다. 그래서 자기 자신을 가르키는 명령어인 'this'를 활용해서 아래와 같이 바꿔준다. 조건문 if와 else 구문 쉽다. 이미 안다. 그래서 코드만 간단히 적어보겠다 Conditional Statesments IF-true IF-false 처음 if true 조건문에서는 바로 뒤에 나온 .write("2";)가 true 이기 때문에 else인 3이 출력되지 않고, 다음 if false 조건문에서는 뒤에 나온 .write("2";)가 false 이기 때문에 else인 3이 출력되어 나온다. 음... 알고 있다. 그래서 이걸 실전에 적용해보면 어떻게 나오는지 한 번 봐야지 아래의 코드는 저번에 만들어 뒀던 야간모드 버튼을 하나로 퉁친 코드이다. 버튼 아이디 자체가 night_day 이기때문에 주야간모드를 넘나드는 버튼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버튼의 value가 night 일때는 바탕을 검정으로, 글자.. 비교연산자와 불리언 프로그래밍을 접해본 사람이라면 문법 부분을 건너 뛰고 들으랬지만 복습 하는겸 그냥 다 들을려한다. Comparison operator & Boolean === 1===1 1===2 '==='는 비교 연산자로 왼쪽에 있는 값과 오른쪽에 있는 값이 같은지 비교하는 것 즉 1===1 은 맞으니까 'true'라는 값을 내보내고 / 1===2는 틀리기 때문에 'false'라는 값을 내보낸다. 여기서 true와 false가 boolean이다. 불리언은 number, String과 같은 데이터 타입 중 하나이다. 이전 1 ··· 58 59 60 61 62 63 64 ··· 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