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24) 썸네일형 리스트형 tcp/ip 05 tcp의 이론적인 내용을 총 정리하고 넘어가는 강. tcp의 내부 동작 원리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정리해보고자 한다. 먼저 세 단계로 나누어서 설명해볼 수 있다. 1. 상대 소켓과의 연결 2. 상대 소켓과의 데이터 송수신 3. 상대 소켓과의 연결 종료 세 단계를 거쳐 tcp 의 내부 동작을 이해할 수 있다. tcp는 기본적으로 데이터 손실 없이 신뢰성을 보장하는 연결을 지향한다. 그렇기 때문에 양쪽 호스트 상호간의 확인 작업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진다. 1. 연결 1. host A에서 연결 요청을 전송 2. host B에서 연결 준비가 되었음을 응답 3. host A에서 연결 준비 데이터 수신 완료를 확인 이 세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3way handshaking이라고 부른다. 2. 데이터 송수신 1. 데이.. tcp/ip 04 tcp/ip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의 송수신 과정을 네 개의 영역으로 계층화. 상위 ------------------------------------------- 하위 application tcp/ip -02,03 챕터를 두개 같이 포스팅하겠다. 이유는 귀찮기 때문에 ㅎ chapter2. 소켓의 타입과 프로토콜 설정 protocol 이란? -> 대화에 필요한 통신규약, 즉 네트워크 통신에 필요한 규약. 소켓 통신에서는 주로 ipv4 프로토콜 체계가 사용되고 있다. 소켓의 타입에 따라 데이터 전송 방식이 달라진다. 1. 연결지향형 소켓 (SOCK_STREAM) / TCP - 중간에 데이터가 소멸되지 않고 목적지로 전송된다. - 전송순서대로 데이터가 수신된다. - 전송되는 데이터의 경계(Boundary)가 존재하지 않는다. /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소켓은 내부적으로 buffer, 즉 바이트 배열을 지니고 있다. 떄문에 데이터가 수신되었다고 해서 바로 read 함수를 호출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 데이터의 확인 절차가 .. 이전 1 ··· 6 7 8 9 10 11 12 ··· 75 다음